으로 끝나는 두 글자의 단어: 115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115개 세 글자:61개 네 글자:110개 다섯 글자:24개 여섯 글자 이상:46개 모든 글자:357개

  • : (1)완전히 평정함.
  • : (1)심하고 거칠게 비평함. 또는 그런 비평.
  • : (1)공연 작품, 발표회, 실습 따위에 대하여 총괄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함. 또는 그런 평가.
  • : (1)당오전의 가치가 떨어져 엽전 한 냥과 당오전 닷 냥을 같은 값으로 셈하게 된 계산.
  • : (1)‘바둑판’의 북한어. 주로 가래나무로 바둑판을 만든 데에서 유래한다.
  • : (1)‘입평’의 북한어.
  • : (1)나라가 태평함. (2)중국 북위(北魏) 남안왕(南安王) 탁발여(拓跋余)의 연호(452). 2월부터 9개월 동안 사용하였으나 이후 문성제(文成帝)가 이 연호를 폐지하였고, 태무제(太武帝)의 연호에 따라 기록하였다. (3)중국 동진(東晉) 목제(穆帝) 때의 연호(357~361). 목제의 두 번째 연호이다.
  • : (1)‘저평하다’의 어근.
  • : (1)바둑을 두는 판. 네모진 나무 판 위에 가로세로 각각 열아홉 줄을 그어 생긴 361개의 십자형이 있으며 한 십자형을 한 집이라고 한다. (2)헐뜯어 평함.
  • : (1)이익을 따져 보는 생각. ⇒규범 표기는 ‘셈평’이다. (2)마음이 평온함. (3)생활의 형편. ⇒규범 표기는 ‘셈평’이다.
  • : (1)‘준평하다’의 어근.
  • : (1)짧고 간단한 비평. (2)‘단평하다’의 어근. (3)중국 남송 이종 때의 연호(1234~1236).
  • : (1)‘염평하다’의 어근.
  • : (1)사실과 다르게 해석하여 평가함. 또는 그런 평가.
  • : (1)대지의 편평한 면. (2)편평한 대지의 끝과 하늘이 맞닿아 경계를 이루는 선. (3)사물의 전망이나 가능성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땅의 평수. (5)고려 말기ㆍ조선 전기에, 사헌부에 속한 종오품 벼슬. 고려 충렬왕 34년(1308)에 전중시어사를 고친 것으로, 잡단으로 고쳤다가 조선 태종 원년(1401)에 다시 이 이름으로 고쳤다. (6)‘지평하다’의 어근.
  • : (1)매우 짧게 비평함. 또는 그런 비평.
  • : (1)중국 남북조 시대 송나라 소제 때의 연호(423~424).
  • : (1)‘논평’의 북한어.
  • : (1)‘치평하다’의 어근. (2)중국 북송 영종 때의 연호(1064~1067).
  • : (1)좋게 평함. 또는 그런 평판이나 평가.
  • : (1)충청북도 증평군에 있는 읍. 쌀ㆍ보리ㆍ콩ㆍ담배ㆍ목화 따위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명승지로 좌구산(坐龜山)이 있다. 군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55.41㎢. (2)‘증편’의 방언
  • : (1)‘탄평하다’의 어근.
  • : (1)한자 평성의 하나로, 평성에 속하는 서른 운을 상하로 나누었을 때, 아래의 반. (2)중국 전한 성제 때의 연호(B.C.28~B.C.25). 성제의 두 번째 연호이다.
  • : (1)‘편평하다’의 어근. (2)농작물의 잎의 형태나 포장 형태가 납작한 모양.
  • : (1)가혹하게 비평함.
  • : (1)걱정이나 탈이 없음. 또는 무사히 잘 있음. (2)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성한 무제 때의 연호(306~310). 306년에 성도왕이 황위에 오르면서 개원하였다.
  • : (1)병아리의 수컷. (2)기울지 않고 평평한 상태. (3)지구 중력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 (4)면이 평평한가 아닌가를 재거나 기울기를 조사하는 데 쓰는 기구. 양 끝을 막고 큰 원호(圓弧)의 일부를 이룬 유리관 속에 일정한 기포를 남겨 두고 에테르 또는 알코올을 넣어서 만든다. 기계를 수평으로 놓았을 때의 기포의 위치를 0점으로 하는 눈금이 새겨져 있다. (5)기계 체조에 쓰는 기구. 기둥 위에 두 개의 횡목을 42cm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부착하여 높이 1.6미터, 길이 3.5미터로 만든다. (6)물 위에 떠 있는 개구리밥.
  • : (1)‘평평하다’의 어근.
  • : (1)한 주일 동안에 일어난 일에 대한 비평.
  • : (1)자기가 한 일을 스스로 평가함. 또는 그런 평가.
  • : (1)신문ㆍ잡지 따위에서 다달이 하는 비평.
  • : (1)중국 한나라의 정치가(?~B.C.178). 한고조를 도와 천하 통일을 이루었으며, 여씨의 난을 평정하였다.
  • : (1)부피의 단위. 흙, 모래 따위의 부피를 잴 때 쓴다. 1입평은 가로, 세로, 높이를 각각 여섯 자로 쌓아 올린 더미의 부피이다.
  • : (1)일정한 주의나 체계 없이 생각나는 대로 비평함. 또는 그런 비평. (2)만화를 그려서 인물이나 사회를 풍자적으로 비평함.
  • : (1)곁에서 보는 사람의 눈으로 비평함.
  • : (1)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한 속마음이나 일의 내막. (2)밖으로 드러나지 않은 평판이나 비평. (3)고구려 때의 관직명.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을 관리ㆍ감독하였다.
  • : (1)‘근무 성적 평정’을 줄여 이르는 말.
  • : (1)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때.
  • : (1)중국 후한 상제 때의 연호(106).
  • : (1)돈으로 치는 셈평.
  • : (1)중국 북위 효명제 때의 연호(516~518). 효명제의 첫 번째 연호이다. (2)중국 후한 영제 때의 연호(172~178). 영제의 두 번째 연호이다.
  • : (1)‘천칭’의 옛말.
  • : (1)신라 때에, 왕경(王京)의 행정 구역으로 둔 내읍(內邑). 여섯 탁평이 있었다.
  • : (1)잘못 판단하여 평가함. 또는 그런 평론.
  • : (1)밟아서 평평하게 만듦. (2)힘을 써서 세상일을 바로잡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여럿 가운데서 골라 비평함. 또는 그런 비평.
  • : (1)꼭 알맞은 평가나 논평.
  • : (1)나쁘게 평함. 또는 그런 평판이나 평가.
  • : (1)중국 북위 선무제 때의 연호(508~512). 선무제의 세 번째 연호이다. (2)중국 후한 명제 때의 연호(58~75). (3)중국 서진 혜제 때의 연호(291). 혜제의 두 번째 연호이다.
  • : (1)반란이나 소요를 누르고 평온하게 진정함.
  • : (1)영화나 연극, 미술 전람회 따위를 보고 해설ㆍ평가하는 문예 평론.
  • : (1)병아리의 암컷.
  • : (1)대중가요 작사가(1908~1940). 본명은 이응호(李應浩). 자는 광희(光熙). 경상북도 영천 출생이다. 일제 강점기 당시 유행했던 <황성의 적(황성 옛터)>의 작사가이며, <대한 팔경>, <비단 장사 왕 서방> 외에 많은 유행가 가사를 남겼다. 고향인 영천에 ‘황성 옛터 기념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왕평 가요제’가 해마다 열리고 있다.
  • : (1)지략이 뛰어난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한(漢)나라 고조의 신하인 장양(張良)과 진평(陳平)을 합하여 부른 데서 유래한다. (2)경기도 양평군 동남쪽에 있는 읍. 한강 중류 왼쪽 기슭에 있어 교통, 행정의 중심지가 된다. 군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42.2㎢.
  • : (1)물건이나 작품의 좋고 나쁨을 평함.
  • : (1)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에 있는 도시. 주장강(珠江江) 중류 뱃길의 요지이며, 광시의 곡창 지대이다. ⇒규범 표기는 ‘구이핑’이다.
  • : (1)벽, 천장 따위의 흙 바름이나 회반죽 바름에 욋가지로 쓰는 가느다란 나무쪽.
  • : (1)여러 사람의 비평. (2)중국 후한 영제 때의 네 번째 연호(184~189).
  • : (1)‘납평’의 북한어.
  • : (1)백제 때에 둔 전체 십육 관등 가운데 첫째 등급. 고이왕 27년(260)에 둔 것으로, 내신좌평ㆍ내두좌평ㆍ내법좌평ㆍ위사좌평ㆍ조정좌평ㆍ병관좌평의 여섯 좌평이 있었다.
  • : (1)무력으로 쳐서 평정함.
  • : (1)연극에 대하여 평가하거나 평론하는 일. 또는 그런 평가나 평론.
  • : (1)실제로 측정한 평단위 면적. 토지의 매매나 임대차에 사용되며, 토지 대장에서 사용하는 면적의 기준이다.
  • : (1)저울의 하나. 가운데에 줏대를 세우고 가로장을 걸치는데, 양쪽 끝에 똑같은 저울판을 달고, 한쪽에 달 물건을, 다른 쪽에 추를 놓아 평평하게 하여 물건의 무게를 단다. ⇒규범 표기는 ‘천평칭’이다. (2)‘천칭’의 북한어. (3)중국 남북조 시대 동위(東魏) 효정제(孝靜帝) 때의 연호(534~537). 동위의 첫 번째 연호이다.
  • : (1)중국 청나라 말에서 중화민국 초의 학자(1852~1932). 초기의 고학 부정론은 캉유웨이(康有爲)에게 큰 영향을 끼쳤으며, 저서로 ≪육역관 총서(六譯館叢書)≫가 있다. ⇒규범 표기는 ‘랴오핑’이다.
  • : (1)민간이나 조정에서 조상이나 종묘 또는 사직에 제사 지내던 날. 동지 뒤의 셋째 술일(戌日)에 지냈으나, 조선 태조 이후에는 동지 뒤 셋째 미일(未日)로 하였다.
  • : (1)건물이 차지한 밑바닥의 넓이. (2)2층 이상 건물에서, 각 층의 바닥 넓이를 전부 더한 평수. (3)중국 전한 애제(哀帝) 때의 연호(B.C.6~B.C.3). 애제의 첫 번째 연호이다. (4)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서연 모용요(慕容搖) 때의 연호(386). 386년 3월에 며칠 동안 사용되었다. (5)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남연 헌무제(獻武帝) 때의 연호(400~405). (6)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연 소무제(昭武帝) 때의 연호(398). 398년 10월부터 3개월 동안 사용된 소무제의 첫 번째 연호이다. (7)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조 명제(明帝) 때의 연호(330~333). 333년 7월 해양왕(海陽王)이 이어 사용하였고 334년에 새로 개원하였다.
  • : (1)노름이나 내기 따위에서 남이 가지게 된 몫에서 조금 얻어 가지는 공것. (2)‘덤’의 방언 (3)제곱근을 계산하여 그 답을 구하는 것. (4)개략적으로 대충대충 하는 비평. (5)중국 오대십국 시대 후량 태조(太祖) 때의 연호(907~911). 태조의 첫 번째 연호이다.
  • : (1)여러 사람이 모여서 의견을 주고받으며 비평함.
  • : (1)‘수평’의 옛말.
  • : (1)‘냉평’의 북한어.
  • : (1)중국 북제(北齊) 후주(後主) 고위(高緯) 때의 연호(570~576). 고위의 두 번째 연호이다.
  • : (1)균형이 맞음. 또는 그런 상태.
  • : (1)난(亂)을 평정함. (2)싸움, 시비, 논쟁 따위에서 어느 쪽에도 치우침이 없이 공평함. (3)조선 영조 때에, 당쟁의 폐단을 없애기 위하여 각 당파에서 고르게 인재를 등용하던 정책.
  • : (1)농작물을 수확하기 전에 미리 작황을 조사하여 소작료율을 결정하던 일.
  • : (1)‘제평하다’의 어근.
  • : (1)미리 예측하여 평가함.
  • : (1)비웃거나 업신여기는 태도로 비평함. 또는 그 비평. (2)사정을 보지 않고 냉혹하게 비평함.
  • : (1)‘균평하다’의 어근.
  • : (1)푸른 개구리밥.
  • : (1)초가집의 평고대로 쓰는 가늘고 긴 나무. (2)풀이 무성하게 자란 넓은 벌판. (3)중국 후한 헌제 때의 첫 번째 연호(190~193).
  • : (1)시문의 잘 짓고 못 지은 것을 평가하여 결정함. (2)남의 평론이나 평가를 높여 이르는 말. (3)어떤 대상이 뛰어나거나 훌륭하다는 평론이나 평가.
  • : (1)화목하고 평온함. (2)나라 사이가 화목하고 평화스러움. (3)중국 북위 문성제 때의 연호(460~465). (4)중국 후한 환제 때의 연호(150). 환제의 두 번째 연호이다.
  • : (1)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고 고름. (2)공정하게 비평함. 또는 그런 비평. (3)일반 대중이 비평함. 또는 그런 비평.
  • : (1)칭찬하여 비평함.
  • : (1)일본에서 도입하여 재배하고 있는 밤 품종의 하나. 숙기는 9월 하순에서 10월 상순이고, 과립의 무게는 20~25그램이다. 수세는 강하나 열매는 적게 열린다. 우리나라 품종에 비하여 단맛은 적은 편이며, 밤나무혹벌에 대한 내충성은 보통이다.
  • : (1)건물이나 땅의 전체 평수. (2)총체적인 평가나 평정. (3)어떤 부문의 사업 전체를 평가하거나 심의하기 위한 조직이나 모임.
  • : (1)내평(內評)에 상대하여 이르는 고구려 때의 관직명. 지방관을 관리ㆍ감독하였다.
  • : (1)‘순평하다’의 어근.
  • : (1)떠내려가는 부평초.
  • : (1)‘송편’의 방언
  • : (1)‘창평하다’의 어근. (2)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서연(西燕) 단수(段隨) 때의 연호(386). 386년 2월부터 3월까지 사용하였다.
  • : (1)나라가 안정되어 아무 걱정 없고 평안함. (2)마음에 아무 근심 걱정이 없음. (3)중국 요나라 성종 때의 연호(1021~1030). (4)중국 남북조 시대 양(梁)나라 경제 때의 연호(556~557). 양나라의 마지막 연호이다. (5)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북연(北燕) 문성제(文成帝) 때의 연호(409~430). 문성제의 뒤를 이어 430년에 왕위에 오른 소성제(昭成帝)는 이 연호를 사용하다가 431년에 새로 개원하였다. (6)중국 삼국 시대 오(吳)나라 손량 때의 세 번째 연호(256~258). (7)독일의 극작가 브라운(Braun, V.)의 희곡. 동독의 건국 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모순과 갈등을 다루었다.
  • : (1)신라 선덕 여왕 때의 연호(634~646). 진덕 여왕 4년(650) 이전까지는 중국의 연호를 쓰지 않고 독자적인 연호를 썼다.
  • : (1)어떤 글이나 말 또는 사건 따위의 내용에 대하여 논하여 비평함. 또는 그런 비평.
  • : (1)사물의 옳고 그름, 아름다움과 추함 따위를 분석하여 가치를 논함. (2)남의 잘못을 드러내어 이러쿵저러쿵 좋지 아니하게 말하여 퍼뜨림.
  • : (1)이익을 따져 보는 생각. (2)생활의 형편.
  • : (1)아무렇게나 함부로 하는 비평이나 평론.
  • : (1)책의 내용에 대한 평.
  • : (1)세상 사람들 사이에 오가는 평판이나 비평. (2)자세하게 비평함. 또는 그런 비평.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9개) : 파, 팍, 팎, 판, 팔, 팝, 팟, 팡, 팣, 팤, 팥, 패, 팩, 팬, 팸, 팽, 퍄, 퍅, 퍼, 퍽, 펀, 펄, 펌, 펏, 펑, 펕, 페, 펙, 펜, 펨, 펭, 편, 폄, 평, 폐, 포, 폭, 폰, 폴, 폼, 폽, 폿, 퐁, 퐃, 퐄, 퐅, 푀, 푄, 표, 푱, 푸, 푹, 푼, 풀, 품, 풋, 풍, 퓸, 퓽, 프, 플, 픤, 피, 픽, 핀, 필, 핌, 핍, 핑

실전 끝말 잇기

평으로 시작하는 단어 (2,027개) : 평, 평가, 평가 가격, 평가 계수, 평가 계정, 평가관, 평가권, 평가 규범, 평가 그룹, 평가금, 평가 금액, 평가 기구, 평가 기능, 평가 기록, 평가 기술, 평가 기준, 평가 내열 지수, 평가 능력, 평가단, 평가대, 평가 대상, 평가 대상 시설, 평가 대상 조직, 평가 도구, 평가되다, 평가락지, 평가락지매듭, 평가력, 평가리, 평가 면담 ...
평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2,027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평으로 끝나는 두 글자 단어는 115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